IT 툴툴

[네트워크] MPLS 이란? 실무에서는?

은듄 2025. 6. 28. 16:48
반응형

코나코

 

 

 


<MPLS 이야기>

1. MPLS에 대해서
2. MPLS 실무에서 적용 방식
3. MPLS 응용

 

 

 

MPL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엔터프라이즈, 통신사,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며, 특히 대규모 네트워크의 트래픽 효율성과 고가용성을 위해 사용됩니다. 

 

좀 더 제대로 알아볼까요?

 

 

 

1. MPLS 에 대해서

✅ MPLS란 무엇인가?

MPLS =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전통적인 IP 라우팅처럼 목적지 기반이 아니라,
"레이블(label)" 기반으로 빠르게 패킷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 주요 특징

 

항목 설명
Layer 2.5 기술 L2와 L3 사이, IP 헤더 분석 없이 Label 기반 전송
고속 패킷 포워딩 IP 라우팅보다 빠른 경로 결정
QoS 보장 트래픽 클래스별 라벨 분리로 보장된 품질
VPN 지원 MPLS VPN (L3VPN, L2VPN 등) 으로 다중 고객망 격리 가능
Fast Reroute (FRR) 장애 시 빠른 회복 가능 (수 ms 내)
 

 

 


2. MPLS 실무에서 적용 방식 

 

✅ MPLS 실무 적용 환경


환경 사용 여부 설명
Enterprise 대규모 네트워크 ✅ 매우 적합 본사, DR, 해외지사 연동 / 고속 백본 / SLA 필요 환경
통신사 네트워크 (ISP) ✅ 기본 적용 MPLS 기반으로 수많은 고객망 분리 (VRF 기반)
데이터센터 간 연결 (DCI) ✅ 가능 DC ↔ DC 구간 고속 전용회선 기반 MPLS VPN 사용
캠퍼스 네트워크 (학교/빌딩 등) ❌ 일반적이지 않음 보통 단순 L2/L3 또는 VXLAN 사용, 복잡도 과함
 

✅ MPLS가 필요한 이유


문제 MPLS 해결 방안
IP 라우팅만으로는 트래픽 분리/제어가 어려움 MPLS Label로 트래픽 분리 및 제어 가능
장애 발생 시 회복이 수 초 걸림 MPLS TE + FRR로 수 밀리초 내 전환 가능
여러 고객/부서의 망 분리 필요 MPLS VPN (VRF) 로 완벽 격리
전용회선 + QoS가 필요한 경우 MPLS는 Class 기반 트래픽 관리 및 우선순위 지원
 

✅ 실무 구성 예시

🎯 [엔터프라이즈 본사 ↔ DR 센터] MPLS VPN 구성

 
[R1] ←OSPF→ [R2] ←OSPF→ [R3]
         ↓
     Label Switched Path (LSP)
 
  • 본사 ↔ DR센터 간 전용망 연결 (라우팅은 OSPF, BGP)
  • MPLS Core 내부는 label switching만 수행
  • VRF를 통해 부서/사업부별 논리 망 분리
  • BGP/MPLS VPN (RFC 4364) 기반

 

 


 

MPLS 응용

 

✅ 대표적인 MPLS 응용

 

응용 방법 분야설명
MPLS L3VPN VRF 기반 고객망 격리 + IP 라우팅
MPLS L2VPN VPLS, VPWS 등 Layer2 서비스
MPLS Traffic Engineering (TE) 트래픽 경로 지정 + 대역폭 예약
MPLS Segment Routing (SR) SDN 기반 MPLS 진화 버전, MPLS의 단점 보완
 

✅ Campus 네트워크에는 왜 잘 안 쓰일까?


이유 설명
복잡한 구성 필요 라벨 기반 구조는 단순한 캠퍼스 환경에 과도함
L2 스위칭 또는 VXLAN으로 충분 캡퍼스는 보통 STP, HSRP, VRRP, 또는 EVPN-VXLAN 기반
높은 관리/운영 난이도 MPLS는 설정, 트러블슈팅 모두 고난도
 

✅ 결론 요약

구분MPLS 사용 적합 여부이유

 

구분 MPLS 적합 여부 이유
Enterprise 대규모 ✅ 매우 적합 고가용성, QoS, VPN, DR 등 요구사항 충족
통신사/ISP ✅ 필수 다중 고객, SLA 제공에 최적
캠퍼스/학교 ❌ 일반적으로 과함 너무 복잡하고 과잉 기능

 

 

🔧 실무에서 자주 쓰는 MPLS 연동 구성

  • MPLS + OSPF/BGP + VRF
  • MPLS + LDP + MP-BGP (L3VPN)
  • MPLS + RSVP-TE (Traffic Engineering)
  • MPLS + Segment Routing (SR) (차세대 MPLS)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아래 글을 참조해보세요!

 

https://eundunn.tistory.com/143

 

 

오늘도 뚠뚠I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