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M2와 OM3 광섬유 케이블 완전 분석
OM2 vs OM3 의 차이는 뭘까?
OM2와 OM3 광섬유 케이블 완전 분석
OM2 (Optical Multimode 2) 특징
이론 설명: OM2는 50/125μm 코어/클래딩 직경을 가진 오렌지색 멀티모드 광섬유입니다. 850nm 파장에서 500MHz·km의 모달 대역폭을 제공하는 구세대 케이블로, 케이블 외피에 "50/125 OM2" 또는 "OFNR 50/125"로 표기됩니다.
❌ 잘못된 예:
- 상황: 200m 거리에 10Gbps 네트워크 구축 시 오렌지색 OM2 케이블 사용
- 결과: OM2는 10Gbps에서 최대 82m만 지원하므로 신호 감쇠로 통신 불가
✅ 올바른 예:
- 1Gbps 네트워크에서 300m 이내 거리
- 10Gbps 네트워크에서 82m 이내 거리에서 사용
OM3 (Optical Multimode 3) 특징
이론 설명: OM3는 50/125μm 코어/클래딩 직경을 가진 아쿠아색(연한 청록색) 멀티모드 광섬유입니다. 850nm 파장에서 2000MHz·km의 모달 대역폭을 제공하며 OM2보다 4배 향상된 성능을 가집니다. 케이블 외피에 "50/125 OM3" 또는 "10G 50/125 OM3"로 표기됩니다.
❌ 잘못된 예:
- 상황: 500m 거리에 10Gbps 네트워크 구축 시 아쿠아색 OM3 케이블 사용
- 결과: OM3도 10Gbps에서 최대 300m만 지원하므로 장거리에서 성능 저하
✅ 올바른 예:
- 10Gbps 네트워크에서 300m 이내 거리
- 40Gbps/100Gbps 네트워크에서 100m 이내 거리에서 사용
OM2와 OM3 혼용 시 문제점
이론 설명: 서로 다른 등급의 케이블을 혼용하면 낮은 등급의 성능에 제한됩니다. 현장에서는 색상 차이(오렌지 vs 아쿠아)와 케이블 라벨을 통해 구분해야 합니다.
❌ 잘못된 예:
- 상황: 건물간 150m 구간에 오렌지색 OM2와 아쿠아색 OM3를 혼용 설치 후 10Gbps 구축
- 결과: OM2 구간(82m 제한) 때문에 전체 링크에서 10Gbps 통신 불가
✅ 올바른 예:
- 단일 등급 케이블 사용 (OM2는 OM2끼리, OM3는 OM3끼리)
- 업그레이드 시 전체 구간을 동일 등급으로 교체
현장 식별 및 구분 방법
이론 설명: 현장에서는 케이블 색상, 라벨 인쇄 내용, 그리고 필요시 테스트 장비를 활용하여 정확한 케이블 등급을 확인해야 합니다. TIA/EIA-598 표준에 따른 색상 구분이 가장 직관적인 방법입니다.
❌ 잘못된 예:
- 상황: 10년 전 설치된 케이블을 페이드된 색상만으로 판단하여 고속 네트워크에 재사용
- 결과: 색상 변색이나 비표준 케이블로 인한 성능 문제 발생
✅ 올바른 예:
- 1단계: 케이블 재킷 색상 확인 (오렌지=OM2, 아쿠아=OM3)
- 2단계: 케이블 외피 인쇄 사양 확인
- 3단계: 의심시 OTDR로 성능 측정
전체 결론 요약
구분OM2OM3
색상 | 오렌지 | 아쿠아(연한 청록색) |
대역폭 | 500MHz·km | 2000MHz·km |
10Gbps 거리 | 82m | 300m |
라벨 표기 | "50/125 OM2" | "50/125 OM3" |
용도 | 구세대, 단거리 | 신세대, 중거리 |
핵심 포인트:
- 색상으로 즉시 구분 가능 (오렌지 vs 아쿠아)
- 혼용 시 낮은 등급 성능에 제한
- 라벨 확인이 가장 정확한 식별 방법
- 동일 등급 케이블 사용 권장
반응형
'IT 툴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L2 포트와 L3 포트를 연결하는 대표적인 3가지 상황 (0) | 2025.06.12 |
---|---|
[네트워크] eBGP/iBGP 구성시 주의 사항 (1) | 2025.06.11 |
[네트워크] 시리얼 포트 및 IP 구성 조건? (1) | 2025.06.09 |
[네트워크][라우팅] 라우팅 개요 - 테스트 네트워크 구성 (0) | 2024.08.25 |
[네트워크][라우팅] 라우팅 개요 (0) | 2024.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