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2 포트와 L3 포트를 연결하는 대표적인 3가지 상황

✅ L2 포트와 L3 포트를 연결하는 대표적인 3가지 상황
1️⃣ Access Switch ↔ Core/Distribution L3 Switch 연결
- Access Switch (L2 전용)에는 PC들이 접속하고,
- Core/Distribution Switch (L3)는 라우팅을 담당
📐 구성:💡 연결 방식:
- L2 포트 (trunk 또는 access) ↔ L3 스위치의 VLAN 인터페이스(SVI)로 전달
- L3 스위치가 각 VLAN을 라우팅 처리 (Inter-VLAN Routing)
2️⃣ L3 Switch의 Routed Port ↔ L2 Switch uplink (Access 또는 Trunk)
- L3 Switch에서 특정 포트를 라우티드 포트로 설정
- L2 Switch는 uplink로 연결하여 단일 VLAN 통신
📐 구성:💡 연결 방식:
- L3 Switch 포트를 no switchport 후 ip address 부여
- VLAN 100으로 들어온 트래픽은 IP 레벨로 처리됨
🚨 주의:
- 이 구성에서는 L3 Switch가 해당 VLAN을 “라우팅”하지 않고 그냥 직접 처리
3️⃣ 라우터 ↔ L2 Switch 연결 (Router on a Stick 구성)
- L2 Switch는 VLAN만 처리하고, 라우터가 VLAN 간 라우팅 수행
📐 구성:💡 연결 방식:
- L2 Switch의 trunk 포트 ↔ Router의 물리 포트 (서브인터페이스로 각 VLAN 지정)
- 예: Gig0/0.10, Gig0/0.20 → 각각 VLAN 10, 20에 대응
✅ 요약 표
-
상황L2 포트L3 포트연결 목적
Access ↔ Core 스위치 Trunk/Access SVI (VLAN 인터페이스) Inter-VLAN Routing Uplink ↔ Routed Port Access Routed Port (IP 직접 부여) 단일 VLAN 트래픽 라우팅 Router on a Stick Trunk Sub-Interface VLAN 간 라우팅 (외부 라우터)
반응형
'IT 툴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라우팅 종류 : Anycast Routing vs Multicast Routing vs Broadcast Routing vs Hybridcast Routing (1) | 2025.06.14 |
---|---|
[네트워크]VLAN 태그는 Trunk 포트를 지나야만 빠지는가? Access 포트만 지나도 태그가 빠지는가? (0) | 2025.06.13 |
[네트워크] eBGP/iBGP 구성시 주의 사항 (1) | 2025.06.11 |
[네트워크] OM2와 OM3 광섬유 케이블 완전 분석 (0) | 2025.06.10 |
[네트워크] 시리얼 포트 및 IP 구성 조건? (1) | 2025.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