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인 들은 한번 쯤은 들어봤을 TCP 세션, UDP 세션 ?? 이런 용어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자.
기본적으로 TCP / UDP 는 Connection-oriented Protocol(TCP) vs Connectionless Protocol(UDP) 통신으로 나뉜다.
오늘의 주제인 '연결지향성(Connection-oriented) 프로토콜 과 비연결지향성(Connectionless) 프로토콜' 인데,
1) 커넥션 기반 프로토콜은 연결지향성이기 때문에 End-to-End 의 연결이 확보된 상태에서 통신을
주고받는다. 가장 중요한건 '통신 신뢰성' , '비연결지향성 통신에 비해 전/후 피어 확인을 위한 시간이 소요되서 상대적으로 느림' 이 특징이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가 대표주자 이고,
TCP 는 예시로 연결확립(Established)시 Three-way Handshake ( 3-way HS ) 와 연결종료(Closing)시 Four-way Handshake ( 4-way HS ) 를 통하여 연결성을 확보 및 통신 종료시 연결 종료를 하는 과정이 있다.
다음으로는 이와 반대되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2) 비연결지향성 통신으로 End-to-End가 연결상태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 통신을 어떻게 보면 그냥 받으라고
일방적으로 통신하는 형태이다.(가차없는 일방적 통신ㅎㅎ)
당연히, 사전/후 통신 신뢰를 위한 과정이 없기에 '비신뢰성' , '통신 속도 빠름' 의 특징이 있다.
UDP ( User Datagram Protocol) 가 대표주자 이고,
UDP는 당연히 그냥 데이터그램을 던진다.ㅎㅎ 뭐 안 받아도 모름.
우리가 실생활에서 좀 더 재밌는(?) 사례를 알아보자면,
대국민 톡톡 서비스에서 '텍스트 메시지' 는 UDP 통신이며, '영상 및 사진' 은 TCP 통신이라고 합니다 ㅎㅎ
당연히 서버도 다를 것 같네요.
'IT 툴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IGRP 와 EIGRP : 다이나믹 라우팅 프로토콜 (0) | 2023.06.17 |
---|---|
[네트워크] 주요 TCP UDP Port 정리 - 통신 프로토콜 (0) | 2023.06.16 |
[네트워크] 마이크로버스트 MicroBurst (0) | 2023.06.16 |
[네트워크] OSPF Neighbor 관하여 (1) | 2023.06.1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nterface status - Error-Disabled 상태 (0) | 2023.05.24 |